주식투자

연금저축계좌로 매수 중인 ETF 공개

유복나우 2021. 1. 5. 21:12
반응형

안녕하세요 유복나우입니다.

 

 

다들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셨나요?

연금저축펀드는 연말에 세액공제가 되는 금융상품이에요.

노후를 준비한다면 반드시 가입해야하는 상품이죠.

단기간에 쓸 돈이 아니라면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는 걸  추천드리고 싶어요.

관련글 : 연말에 66만원 돌려주는 연금저축펀드 이해하기

 

 

'연금저축펀드'라고 얘기하지만 사실 '연금저축계좌'라고 부르는 게 더 정확할 거 같아요.

연금저축펀드는 내가 연금저축계좌를 만든 후 그 계좌를 통해 매수하는 구조거든요.

 

 

 

연금저축펀드를 여러개 구매 가능해요

 

 

 

펀드에 가입하고 싶지 않다면, 연금저축계좌에 돈을 넣어놓고 세액공제만 받을 수도 있어요.

소득에 따라 다르지만 400만원을 넣어두면 66만원을 연말정산 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투자는 조금이라도 일찍 시작하는 게 가장 좋다고 합니다.

하지만 지금까지 주식시장이 활황일 때는 기다렸다가 저점일 때 사야하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.

조만간 시장이 안 좋아질거라 예측한다면, 기다리는 것도 좋은 전략이겠죠.

 

 

 

연금저축펀드 중에 어떤 걸 사면 좋을까요?

 

저는 워런 버핏이 추천하는 방법이 저에게 맞다고 생각해서 따르고 있습니다.

워런 버핏은 일반인이라면 S&P500 인덱스펀드에 90%, 국채에 10%를 투자하라고 조언했죠.

 

그래서 저는 S&P500 ETF를 매수하고 있습니다. ETF는 상장지수펀드라는 건데요, 주식처럼 매매하는 것이 가능한 펀드입니다. S&P500 ETF는 S&P500 인덱스펀드를 주식처럼 매매하는 상품이죠.

 

연금저축계좌에서는 '국내'에 상장된 ETF만 매수 가능해서, 아쉽지만 미국 ETF는 매수가 안됩니다.

 

그래서 저는 국내에 상장된 S&P500 ETF를 매수하고 있어요. 국내 상장 S&P500 ETF에는 몇가지가 있는데, 그 중에서 KINDEX 미국S&P500 을 매수 중입니다. KINDEX는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운용하고 있는 금융상품 앞에 붙는 이름입니다. 한국투자신탁운용을 줄여서 KINDEX라고 하거든요. KINDEX라고 붙은 금융상품을 보면 '아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만든 상품이구나'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 

광고아니에요;;

 

 

 

▼한국투자신탁운용 KINDEX 미국S&P500 공식사이트

www.kindexetf.com/fund/getFundInfo.etf?fundCD=9001Y&tabMenuNo=1

펀드 상세보기 | 한국투자신탁운용 KINDEX

<!-- 클릭시 항시 _over이미지 보여짐. 디폴트는 tab01_over.gif --> 종목구성 종목 구성 1~30 순위 구성종목 업종 비중(%) 1 Apple Inc. Technology Hardware, Storage & Peripherals 6.63 2 Microsoft Corp Systems Software 5.28 3 Amazo

www.kindexetf.com

 

 

KINDEX 미국S&P500은 다른 상품들에 비해 수수료가 가장 싸서 선택했어요. 눈여겨봤던 다른 ETF 중에서는 삼성자산운용에서 만든 'KODEX 미국S&P500선물'이 거래규모도 크고 해서 좋아보였지만요. KODEX S&P500 상품은 수수료가 KINDEX에 비해 많이 높더라고요. 아무래도 환헤지를 해서 그런거겠죠? 하지만 워런버핏은 수수료가 싼 인덱스펀드를 매수하라고 강조했기 때문에, 저는 KINDEX를 선택했습니다. 10년, 20년 장기로 가지고 있을건데 수수료 0.1% 차이가 나중에는 굉장히 큰 돈이 된다고 하더라구요.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투자하는 건 정말 제 연금을 위해서 투자하는 거라서, 저한테는 수수료가 싼 게 중요해요. 거래규모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시면 KODEX로 사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. 그리고 '선물'을 다루는 데서 오는 장점도 있어요.

 

 

 

광고 아님

 

 

 

▼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S&P500선물 공식사이트

m.kodex.com/product_view.do?fId=2ETF50

KODEX 미국S&P500선물(H) > 상품상세정보 > 상품정보 > KODEX

기준가(NAV) vs 추정기준가(iNAV, indicative NAV) 기준가(NAV) :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,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

m.kodex.com

 

여러분 오늘 소개드린 S&P500 ETF에 투자하시지는 않더라도, 연금저축계좌는 꼭 만드셔서 노후도 준비하시고 연말정산 때 세금도 환급받기를 권해요. 국민연금이 있긴 하지만 충분하지 않으니까요.

 

유복나우였습니다. 감사합니다 :)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