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테크

2025년 엔화 투자 방법 기본정리 – 엔화 예금, ETF, 일본주식

유복나우 2025. 3. 9. 23:42
반응형

 


최근에  엔화 강세가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. 엔화 투자를 해볼까 싶다.

그래서 엔화 투자방법을 정리해보았다. 

 

 

엔화 투자 방법 6가지


1. 엔화 직접 보유 (외화예금)

  • 외화예금 (외화 통장 개설): 은행 외화예금 계좌 개설 후 엔화 보유
  • 장점: 안전한 보관 가능, 환율 상승 시 차익 기대
  • 단점: 이자 거의 없음, 환전 수수료 부담

 

2. 엔화 ETF (상장지수펀드) 투자

  • 한국 증권거래소(KRX) 또는 해외 거래소(일본, 미국 등)에서 엔화 관련 ETF 매수
  • 예시: TIGER 일본엔선물(292560),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(합성 H) 등
  • 장점: 주식처럼 쉽게 매매할 수 있으며, 관리가 간편
  • 단점: 환율 변동 외에도 운용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음

 

3.일본 주식/펀드 투자

  • 일본 증시에 상장된 기업(소니, 도요타, 닌텐도 등) 주식 매수
  • 일본 증시 ETF(예: EWJ, DXJ)도 고려할 수 있음
  • 장점: 기업 성장과 환율 상승으로 이중 수익 기대
  • 단점: 주식 시장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 존재

 

4. 일본 국채 (JGB, 일본 정부 채권) 투자

  • 일본 국채를 매수하여 이자 수익과 환율 차익을 얻는 방법
  • 장점: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하며, 이자 수익 발생
  • 단점: 한국에서 직접 투자하기 어려움, 해외 브로커 이용 필요

 

5. 엔화 선물 (FX마진, 환율선물) 거래

  • 엔화-원화 환율 변동을 이용한 선물 거래
  • 예시: CME(시카고선물거래소) 엔화 선물, 국내 증권사의 FX마진 거래
  • 장점: 레버리지를 활용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음
  • 단점: 변동성이 크고 고위험 투자

 

6. 해외송금 플랫폼 이용 (Wise, Revolut 등)

  • 엔화 보유를 위해 해외송금 서비스를 활용하여 환전 후 엔화 보유
  • 장점: 환전 수수료 절감 가능
  • 단점: 한국 금융 규제(연간 송금 한도) 고려해야

 

 

 

투자 방법 선택 가이드

  • 안정적인 보유: 외화예금, 일본 국채
  • 간편한 투자: 엔화 ETF, 일본 주식
  • 고위험/고수익: FX마진, 선물거래

 

 

 

정리해보니, 현실적으로 1번 외화예금 > 2번 엔화 ETF > 3번 일본 주식 순으로 가능할 것 같다.

 

외화예금은 외화계좌 하나 만들어서 내가 사면 될 것 같고...

2번 엔화 ETF의 경우, 네이버증권에서 검색해보면 우리나라에 상장된 건 다음과 같다.

2025.03.09 검색

 

 

엔화노출 ETF가 많다. 엔화노출 ETF에 대해서는 다음 게시물에서 정리해보겠다.

 

 

반응형